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차이점 알아보기

by why-h 2023. 12. 13.
반응형

오늘은 요즘 AI로 인하여, 많이 단어들이 궁금증을 자아내고 있는 가운데, 그 중에서도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개념

머신러닝은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 컴퓨터가 학습을 통해 스스로 성장하고 발전하는 능력을 가진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고, 패턴을 찾아내며, 이를 바탕으로 미래의 결정을 예측합니다. 딥러닝은 머신러닝의 한 분야로, 인공신경망을 기반으로 한 기술입니다. 이 인공신경망은 사람의 뇌에서 발견되는 신경망의 동작 원리를 모방하여 설계되었습니다. 딥러닝은 많은 양의 비정형 데이터에서 패턴을 찾아내는 데 특히 뛰어납니다.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차이점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차이점을 좀 더 상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학습 방법

머신러닝에서는 데이터와 해당 데이터의 출력 결과(레이블)를 모델에 입력하면, 모델은 이를 통해 학습하게 됩니다. 이를 '지도 학습'이라고 부릅니다. 이와 반대로 '비지도 학습'은 레이블이 없는 데이터를 모델에 입력하고, 모델이 스스로 패턴을 찾아내는 학습 방법입니다.

딥러닝에서는 '지도 학습'과 '비지도 학습' 모두 사용되지만, '지도 학습'이 주로 사용되며, '비지도 학습'은 주로 데이터의 특징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데 사용됩니다.

 

데이터 처리

머신러닝에서는 데이터 처리를 위해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고, 이를 모델에 입력해야 합니다. 이와 달리 딥러닝에서는 데이터의 원시 입력만을 모델에 제공하면, 모델이 스스로 데이터의 특징을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패턴을 찾아냅니다.

 

하드웨어 요구사항

딥러닝은 일반적으로 머신러닝보다 더 많은 계산 능력을 필요로 합니다. 이는 딥러닝이 복잡한 신경망 구조를 사용하며, 이를 학습시키기 위해서는 큰 양의 데이터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딥러닝은 고성능의 GPU와 많은 메모리를 필요로 합니다. 반면에, 머신러닝은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데이터로도 학습이 가능하며, CPU만으로도 충분히 학습할 수 있습니다.

 

학습 시간

딥러닝 모델은 일반적으로 머신러닝 모델보다 학습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이는 딥러닝 모델이 복잡한 신경망 구조를 사용하고, 이를 학습시키기 위해 많은 양의 데이터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머신러닝 모델은 상대적으로 학습 시간이 짧습니다. 이는 머신러닝 모델이 단순한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이를 학습시키기 위한 데이터의 양이 딥러닝 모델보다 적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머신러닝과 딥러닝은 학습 방법, 데이터 처리 방식, 하드웨어 요구사항, 학습 시간 등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이 둘 중 어떤 기술을 선택할 지는 문제의 특성, 사용 가능한 리소스, 요구되는 성능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장단점

머신러닝과 딥러닝 각각의 장단점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머신러닝의 장점

다양한 방식의 학습 알고리즘

머신러닝은 지도학습, 비지도학습, 강화학습 등 다양한 학습 방법을 제공합니다. 이는 다양한 유형의 문제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해석력: 머신러닝 모델의 경우 결정 트리나 선형 회귀 등의 방법을 사용하면, 모델의 작동 원리를 비교적 이해하기 쉽습니다.

 

학습 시간과 리소스

머신러닝은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데이터로도 학습이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딥러닝보다 학습 시간이 짧습니다.

 

머신러닝의 단점

특징 선택

머신러닝에서는 모델 학습 전에 데이터의 특징을 수동으로 선택해야 합니다. 이 과정은 도메인 지식을 필요로 하며,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됩니다. 정형 데이터에 한정: 대부분의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정형 데이터에 대해 잘 작동하지만,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등의 비정형 데이터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딥러닝의 장점

자동 특징 학습

딥러닝 모델은 데이터의 원시 입력을 받아, 스스로 특징을 학습합니다. 이는 수동으로 특징을 선택하는 과정을 없애줍니다. 비정형 데이터 처리: 딥러닝은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등의 비정형 데이터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입니다.

 

딥러닝의 단점

데이터 요구량

딥러닝은 많은 양의 학습 데이터를 필요로 합니다. 학습 데이터가 부족하면, 모델의 성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계산 능력

딥러닝은 높은 계산 능력을 필요로 합니다. 복잡한 신경망 구조를 학습시키기 위해 고성능의 하드웨어가 필요합니다.

해석력 부족

딥러닝 모델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이를 '블랙 박스' 문제라고 부릅니다.

 

이렇게 머신러닝과 딥러닝은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므로, 어떤 기술을 선택할 지는 문제의 특성, 사용 가능한 리소스, 요구되는 성능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사용예 머신러닝은 스팸 메일 필터링, 신용 카드 사기 탐지, 상품 추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딥러닝은 음성 인식, 이미지 인식, 자연어 처리 등의 분야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이며, 자율주행 자동차, 의료 진단 등에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차이점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았습니다. 딥러닝과 머신러닝은 각각의 장점과 적합한 분야가 따로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기술 선택은 문제의 특성과 요구사항에 따라 달라지게 될것입니다.

모두가 인공지능에 대해서 만족스러울 때까지 다음번에도 더 탄탄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참고자료:

"Deep Learning vs Machine Learning: The Essential Di머신러닝과 딥러닝의 발전 가능성에 대해서도 알려줄 수 있어?fferences You Need To Know!" - Analytics Vidhya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 IBM "Deep Learning Vs. Machine Learning: Choosing the Best Data Analytics Technique" - Built In

 

반응형